전자계산기 대박 쥐약
나 전자과인데..
데이터베이스
해싱 테이블 오버플로우 처리 기법
collision(충돌 현상)이 발생했을 때 그 버킷에 저장할 slot이 없으면 overflow가 되는데 이를 위한 해결 방법은!
개방주소법 선형 방법으로, collision 발생 시 순차적으로 그 다음 빈 버킷을 찾아 저장함
폐쇄주소법 overflow 된 레코드들을 별도의 overflow 영역에 저장하고 chain(pointer)으로 홈 버킷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해시표 내의 빈자리에 보관하는 direct chaining, 해시표와는 별도의 기억 공간에 보관하는 indirect chaining이 이씅ㅁ
재해싱 collision 발생 시 새로운 해싱 함수로 새로운 홈 주소를 구함
로킹
로킹 단위: 동시성 제어에서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단위
로킹단위가 크면 로크수가 작아 관리하기 쉽지만 병행성 수준이 낮아지고, 로킹 단위가 작으면 로크수가 많아 관리하기 복잡하지만 병행성 수준은 높아고, 오버헤드는 증가한다.
전자계산기구조
Marshalling 마샬링
한 객체의 메모리에서의 표현 방식을 저장 또는 전송에 적합한 다른 데이터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연속되어 있지 않은 저장 공간으로부터 데이터를 모은 다음, 데이터들을 메시지 버퍼에 넣고, 특정 수신기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맞도록 그 데이터를 조직화하거나 미리 정해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Porting 이식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원래 설계된 바와 다른 컴퓨팅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DMA 명령어 사이클
간접 사이클 피연산 데이터가 있는 기억 장치의 유효 주소를 계산하는 과정
인터럽트 사이클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특정 장소에 보관하고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이고, 실행 사이클의 마지막에 시작됨
실행 사이클 연산자 코드의 내용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는 과정
패치 사이클 주기억장치로부터 명령어를 꺼내어 디코딩하는 과정
Zero-Address Instruction Mode
명령어 뒤에 오퍼랜드 필요 없이 명령어만 사용하는 형식
인터럽트 우선순위 결정 방식: Polling
우선순위 인터럽트 중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를 알아내는 방식
소프트웨어적으로 CPU가 장치 하나하나를 차례로 조사하는 방식
많은 인터럽트 발생 시 처리 시간 및 반응 시간이 매우 느리다 (조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림)
인터럽트 요청 신호 플래그를 차례로 검사하여 인터럽트의 원인을 판별하는 방법
array processor
단일명령어 다중 데이터구조를 가진 프로세서이며 다중 기능 장치를 이용하여 벡터 명령어를 처리함
레지스터 간 데이터 전송 방법
직렬 전송 병렬 전송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하나의 클록 펄스 동안 하나의 비트가 전송되고, 비트 단위 전송이 모여 워드를 전송하는 방식
병렬 전송 하나의 클록 펄스 동안에 레지스터 내의 모든 비트, 즉 워드가 동시에 전송되는 방식
빠른 만큼 결선의 수도 많다
버스 전송 하나의 클록 펄스 동안 레지스터 내 모든 비트가 공통으로(동시에) 이용하는 경로로, 병렬 전송에 비해 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Addressing Mode 연산 속도
immediately > direct > indirect
채널 입출력 방식
채널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사이에서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 전용 프로세스
채널 명령어를 분석하여 직접 주기억장치에 접근해서 입출력을 수행한다
CPU와 동시에 동작이 가능하므로 고속으로 입출력 가능한 고속 입출력 제어기
여러 개의 블록을 전송하고, 전송 시에는 DMA 이용
PLA Programmable Logic Array
프로그램이 가능한 논리 소자로 n개의 입력에 대하여 2n개 이하의 출력을 만들 수 있는 논리 회로
AND 회로, OR 회로의 조합으로 조합 회로를 설계하는 방법 중 하나
메모리 어레이와 구성이 유사하여 로직 어레이라고 불린다
Pipleline Register
하나의 프로세스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여러 개의 서브 프로세스로 나누어 각 프로세서가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법
명령어를 읽어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적용되는 기술로 동시에 여러 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기법
Fetch 메모리에서 명령 인출 → Decode 명령어 해독 및 레지스터 인출 → Execute 명령어 실행 → Write-Back 수행한 결과를 기록
캐시 기억 장치 매핑 방법
매핑 프로세스란? 주기억장치로부터 캐시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직접매핑 메모리 액세스를 위한 주소를 태그 필드와 인덱스 필드로 나누고 인덱스 필드는 캐시기억장치 액세스에 사용, 매핑이 간단하고 신속하지만 미스율이 높음
같은 인덱스를 가졌지만 다른 tag를 가진 두 개 이상의 워드가 반복 접근할 경우 적중률이 낮아질 수 있다
연관 매핑 가장 빠르고 융통성 있는 캐시구조로서 기억장치 워드의 번지와 데이터를 함께 저장, 매핑 과정이 복잡하지만 매핑율 높음
세트-연관 매핑 직접 매핑과 연관 매핑의 장점을 혼합, 캐시기억장치를 세트(여러 블록으로 구성)로 분할하는 방법
CPU 처리 단계
Fetch cycle→ Indirect cycle → Execute cycle → Interrupt cycle
RISC vs CISC
RISC CISC
처리 속도 | 빠름 | 느림 |
명령어수 | 적음 | 많음 |
전력소모 | 적음 | 많음 |
프로그램 용이성 | 복잡 | 간단 |
설계용이성 | 간단 | 복잡 |
운영체제
매크로 프로세서 수행 기본 작업
- 매크로 정의 인식
- 매크로 정의 저장
- 매크로 호출 인식
- 매크로 호출 확장과 인수 치환
레코드 접근 파일
순차 파일 Sequential File 순차 편성 파일, 직렬 파일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한 개의 선과 같은 파일로 파일은 몇 개의 레코드로 구성되며 그것은 물리적인 순서에 따라 결정된다. 자기 테이프, 카드 입출력, 프린터에 만들어지는 파일은 모두 순차 팡리이다. 자기 디스크에 이 파일을 놓는 것도 가능하다
인덱스 파일 Index File
파일 속에서 특정 데이터를 빠르게 찾아내기 위해 항목명과 그 파일의 몇 번째의 데이터인가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의 번호만을 저장한 색인용의 파일을 말한다
다중링 파일 Multi-ring File
여러 유형의 레코드들을 유형별로 포인터를 이용하여 연결시키거나 서로 관련된 상이한 유형의 레코드들을 포인터로 연결시켜 구성하는 파일
직접 파일 Direct File
레코드가 가지고 있는 키를 사용해서 접속할 수 있는 파일 형식
직접 접근 기억 장치(DASD)에서만 작성할 수 있고, DASD는 실린더라는 단위로 구획되어 있다. 실린더는 복수 트래픽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트래픽 중에 복수의 레코드가 들어 있다. 데이터를 파일에 넣을 때나 파일에 접속할 때는 먼저 레코드의 키를 주소로 변환한 후에 변환된 주소를 사용해서 레코드를 넣거나 레코드에 접속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로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로 적재
링커 사용자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I/O 루틴과의 결합
언어 번역기 고급언어로 작성된 사용자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
디버거 실행시간 오류가 발생할 경우 기계상태 검사 및 수정
교착 상태 회피 기법
은행원 알고리즘
교착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교착상태가 발생하면 적절히 피해나가는 방법
운영체제가 사용자의 요구(Request)에 대해 만족시킬 수 있는 요구만 수락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없다면 만족시킬 수 있는 조건이 될 때까지 거부 또는 보류하는 알고리즘
스래싱
하나의 프로세스가 작업 수행 과정에서 수행하는 기억장치 접근에서 지나치게 페이지 부재(Page Fault)가 발생하여 프로세스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커지는 현상
내부 단편화 vs 외부 단편화
내부 단편화 메모리 공간에 할당하고 남는 공간
외부 단편화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여 작업이 할당되지 못할 때 메모리의 크기
분산 운영체제: Site 간 Migration 종류
데이터 이주 Data Migration 데이터를 요청한 컴퓨터로 복사본을 전송시키는 방식
연산 이주 Computation Migration 요청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결과를 요청한 컴퓨터에 보내는 방식
프로세스 이주 Process Migration 프로세스의 전체 또는 일부를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방식
페이지 대치
프레임에 참조할 페이지가 없으면 페이지 대치가 이루어짐
페이지 부재 오류가 발생하면 무조건 페이지 대치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억 공간 내에 사용 가능한 페이지 프레임이 있는가를 검사하여 사용 가능한 페이지 프레임이 없을 때에 페이지 교체가 일어남
최선은 앞으로 참조하지 않을 페이지를 대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실실적으로 불가하다
프레임이 엄청 많이 할당받아 모든 페이지를 적재하고 있다면 대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프로세스가 전송하는 메시지
형식 메시지, 가변 길이 메시지, 고정 길이 메시지
소프트웨어공학
HIPO Hierarchy Input Process Output
하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문서화 도구 (계층 → 프로세스)
구조도, 개요 도표 집합, 상세 도표 집합으로 구성된다
기능과 자료의 의존 관계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
보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하향식 통합 검사 Top Down Integration Test
상위 모듈에서 모듈 단위로 단계적으로 통합하면서 검사하는 방법
상위 모듈에서 하위 모듈 방향
주요 제어 모듈이 검사를 위한 드라이버로 사용된다. 종속 모듈은 시험용 모듈인 스터브(Stub)로 대체한다
이 후 종속 스티브들을 통합하며 검사 실시
보증을 위해 회귀 검사 실시 (역순으로)
상향식 통합 검사 Bottom Up Integration Test
하위 모듈에서 상위 모듈 방향
드라이버를 작성하여 클러스터를 검사한다. 검사 이후 드라이버는 제거되고 클러스터는 다시 상위에 결합된다.
중앙집중형팀 (책임 프로그래머팀)
팀 리더의 개인적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
조직적으로 잘 구성된 중앙 집중식 구조이다
프로젝트 팀의 목표 설정 및 의사결정 권한이 팀 리더에게 주어진다
분산형팀
팀 구성 방법 중 가장 많은 의사소통 경로를 갖는다
각 구성원들은 의사 결정에 자유롭게 참여한다
팀 구성원 간의 의사교류를 활성화시키므로 복잡한 장기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구성원들의 책임과 권한의 약화로 대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하지 않
팀 구성원 간의 의사교류를 활성화시키므로 팀원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증대시킨다
CASE 도구 - Repository (정보 저장소)
도구들과 생명주기 활동, 사용자들, 응용 소프트웨어들 사이의 통신과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를 향상
초기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는 사람이 정보저장소 역할을 했지만 오늘날에는 데이터베이스가 정보저장소 역할을 한다
정보저장소는 도구들의 통합,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표준화,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의 기본이 된다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 요소들과 시스템 정보가 정보저장소에 의해 관리되므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객체
실세계 또는 개념적으로 존재하는 세계의 사물들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 객체들의 집합 ⇒ 클래스
객체는 데이터를 가지며 이 데이터의 값을 변경하는 함수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객체들 사이에 통신을 할 때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231103 2018-3
럼바우의 분석 기법
기능 모델링 DFD Data Flow Diagram
동적 모델링 State Diagram
객체 모델링 Class Diagram
Brooks의 법칙
프로젝트 진행 중에 새로운 인력을 투입할 경우 작업 적응 기간과 부작용으로 인해 일정을 더욱 지연시키고, 프로젝트에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는 법칙
데이터통신
1000BaseT 규격
1000: 전송속도가 1000Mbps
Base: 베이스밴드 방식
T: 전송 매체로 꼬임선 케이블을 사용함
100BaseT: 고속 이더넷에서 사용
1000BaseT: 기가비트 이더넷에서 사용
HDLC 전송 제어 절차 - 세 가지 동작 모드
비트 위주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 모드는 표준(정규)응답 모드
NRM 멀티 포인트 불균형 링크에 사용, 주국에 허가(POLL)가 있을 때만 통신
비동기 응답 모드 ARM 포인트 투 포인트 불균형 링크에 사용
비동기 균형 모드 ABM 포인트 투 포인트 균형 링크에 사용
Polling
회선 제어 방식으로 단말기에서 주 컴퓨터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경우 쓰임
반대로 Selection은 주 컴퓨터에서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원천 부호화 Source Coding
DPCM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taion
원래 파형 샘플이 아닌 그 잔차(예측 오류)를 양자화하여 정보량을 감소시키는 부호화 방식
DM 델타 변조 신호 표본치가 이전 표본치에 대하여 크고 작음만을 부호화한 변조방식
LPC Linear Predictive Coding 인간 발성 모델에 근거한 선형 예측에 의한 음성 부호화 방식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전송로 상의 공통 채널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주파수 분할에 의한 다중화 방식
무선 LAN 매체 접근 방식
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분산조정함수 경쟁 방식
PCF Point Coordination Function 점조정함수 무경쟁방식
VLAN 종류
프로토콜 기반 VLAN 응용 프로그램별 가상랜 구성: 프로토콜 유형을 알기 위해 프로토콜 분석 필요
MAC 기반 VLAN MAC 주소를 사용해 가상으로 LAN을 묶는 방법: 단말 이동 시 VLAN 재구성이 필요 없음, 모든 MAC 주소를 알아야 하므로 비효율적
네트워크 주소 기반 VLAN (IP Address) 3계층 IP 주소에 의해 구성: IP가 없는 노드에서 VLAN 구성이 힘듦
포트 기반 VLAN 물리적인 포트를 이용하여 LAN을 묶는 방법: 구성이 용이하여 단말 이동 시 VLAN 재구성 필요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
L2CAP 프로토콜 구조 중 오류 제어, 인증, 암호화를 정의
RF 블루투스의 프로토콜 구조 중 물리 계층을 규정
TTD 블루투스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방식
'Computer Science > 정보처리기사 & 전산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2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개념 정리 (오답 위주) (2) | 2023.11.02 |
---|---|
2018-1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개념 정리 소프트웨어공학, 데이터통신 (오답 위주) (0) | 2023.11.02 |
2019-2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개념 정리 소프트웨어공학, 데이터통신 (오답 위주) (0) | 2023.11.01 |
2019-2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개념 정리 전자계산기구조, 운영체제 (오답 위주) (0) | 2023.10.31 |
2019-3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개념 정리 (오답 위주) (0) | 2023.10.30 |